보물 제184호 부여장하리삼층석탑(扶餘長蝦里三層石塔) -부여 장암 보물 제184호 부여장하리삼층석탑(扶餘長蝦里三層石塔) -부여 장암 -. 충남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 536 -. 고려시대 -. 충청(忠淸)·전라(全羅) 양도 백제(百濟)의 옛 영역에는 백제계(百濟系) 석탑이 몇 개 전하고 있는데, 이들은 모두 부여(扶餘) 정림사지석탑(定林寺址石塔)(국보(國寶) 제(第)9호(號))의 양.. [내고향 문화 탐방]/**** 부여 탐방 2009.09.23
흥학당(興學堂) - 부여 장암 흥학당(興學堂) - 부여 장암 -. 시도유형문화재 제125호 (부여군) -. 충남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 681 -. 이 건물은 조선시대(朝鮮時代) 과천현감(果川縣監)을 지낸 난재(蘭齋) 조태징(趙泰徵) 선생을 배향(配享)한 남산사(南山祠)의 부속건물로 영조(英祖) 46년(1770)에 건립되었다. ㄷ자형의 평면으로, 중앙의 .. [내고향 문화 탐방]/**** 부여 탐방 2009.09.23
올 가을 가장 아름다운 길 - 부여 남면 올 가을 가장 아름다운 길 - 부여 남면 얼굴을 핥고 지나는 갈마바람 향기로운 날에 보물 제 184호 장하리삼층석탑을 찾아 훌쩍 길을 나섭니다. 서천 군계를 넘어 부여 남면 앞의 611도로에 접어 들었을 때, 어라...??? 세상에...!!! 눈 앞에 끝없이 펼쳐진 눈부신 풍경에 휘둥그레진 눈 그리고 벌어진 입 그.. [내고향 문화 탐방]/**** 부여 탐방 2009.09.23
국보 제8호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- 보령 국보 제8호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(聖住寺郎慧和尙白月葆光塔碑) - 보령 -.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80-2 -. 통일신라 -. 이 석비는 신라(新羅) 헌덕왕(憲德王) 때 당(唐)나라에 수학하고 돌아온 낭혜화상(郎慧和尙) 무염(無染)(801∼888)을 위해 세워진 탑비로 귀부(龜跌) 위에 비신(碑身)을 세우고 .. [내고향 문화 탐방]/**** 보령 탐방 2009.09.22
보물 제19호 - 성주사지오층석탑(聖住寺址五層石塔) - 보령 보물 제19호 - 성주사지오층석탑(聖住寺址五層石塔) -.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3 -. 통일신라시대 -. 이 석탑은 층수(層數)가 다를 뿐 각부의 양식과 만든 솜씨가 같은 절 경내(境內)에 있는 3기의 3층석탑과 동일하다. 이중기단(二重基壇) 위에 5층석탑으로 하층기단에는 지대석(地臺石)과 면석(面石).. [내고향 문화 탐방]/**** 보령 탐방 2009.09.22
성주사지동삼층석탑(聖住寺址東三層石塔) - 보령 성주사지동삼층석탑(聖住寺址東三層石塔) -. 시도유형문화재 제26호 (보령시) -.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3 -. 성주사(聖住寺) 창건기(創建期) 통일신라(統一新羅)때 세워진 삼층탑(三層塔)으로 원형보존(原形保存) 되고 있다. 금당지(金堂址)뒤에, 나란히 서있는 3기(基)의 석탑(石塔)중 동(東)쪽에 위.. [내고향 문화 탐방]/**** 보령 탐방 2009.09.22
보물 제20호 - 성주사지중앙삼층석탑(聖住寺址中央三層石塔) - 보령 보물 제20호 - 성주사지중앙삼층석탑(聖住寺址中央三層石塔) -.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3 -. 성주사지< 聖住寺址 >에는 금당지< 金堂址 > 전면에 5층석탑 1기, 후면에 3층석탑 3기가 일직선상에 건립되어 있다. 이 탑은 3기 중 중앙에 위치한 3층석탑이다. -. 나머지 석탑과 같은 양식으로, 이.. [내고향 문화 탐방]/**** 보령 탐방 2009.09.22
보물 제47호 - 성주사지서삼층석탑(聖住寺址西三層石塔) - 보령 보물 제47호 - 성주사지서삼층석탑(聖住寺址西三層石塔) -.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3 -. 성주사지에서 금당터로 보이는 곳의 뒤쪽으로 나란히 서 있는 3기의 탑 중 가장 서쪽에 있는 석탑이다. -. 이 석탑은 9세기에 조성(造成)된 통일신라시대(統一新羅時代) 석탑(石塔)이다. 이중기단(二重基壇) 위.. [내고향 문화 탐방]/**** 보령 탐방 2009.09.22
성주사지(聖住寺址) - 보령 성주 성주사지(聖住寺址) - 보령 성주 -. 사적 제307호 -.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2 -. 보령 성주산 남쪽 기슭에 있는 9산선문의 하나인 성주사가 있던 자리이다. -. 백제 법왕 때 처음 지어졌는데 창건 당시에는 오합사(烏合寺)라고 부르다가, 신라 문성왕때 당나라에서 돌아온 낭혜화상이 절을 크게 중창.. [내고향 문화 탐방]/**** 보령 탐방 2009.09.22
노고산(老姑山=꼬부랑산) - 마산면 나궁리 노고산(老姑山) - 마산면 나궁리 -. 위치 : 서천군 마산면 나궁리와 부여군 충화면 지석리 경계에 있는 산으로, 해발 229m이나 정상으로 갈수록 산세가 매우 험하다. -. 유래 : 산 정상부에 있는 바위가 허리 굽은 할머니처럼 생긴 데서 유래 됐다는 설과, 암벽 아래 동굴이 있는데 마음씨 고약한 며느리가 .. [내고향 문화 탐방]/**** 서천 탐방 2009.09.1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