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산면 은곡리의 지명 유래 - 황소논 * 황소논 -. 작은 육굴 앞에 있으며, 논이 무자리가 깊어(늪지대) 힘이 센 황소가 아니면 논갈이를 할 수 없다하여 황소논이라 하였다. 황소를 팔아 논을 샀다하여 황소논이라 했다는 설도 있다. -. 논을 갈다가 황소가 수렁에 빠져 죽었다는 구전이 있다. 황소논에 얽힌 일화 - 준비 중 ▼옛 황소논 수렁 .. [내고향 한실 이야기]/**** 한실 소개 2009.01.11
은곡리 마을회관 *은곡리 마을회관 -. 1974년 박상굴 고 구재완 선생께서 평해 구씨 소종중 소유의 대지를 희사해 은곡리 새마을회관 건립, (도지사, 군수 표창) -. 199~년 현 건물로 재건축. -. 2004년 9월 4일 - 건강관리실 및 쉼터 건립 -. 2007년 (농어촌 장수마을)사업으로 장수관 건립 ▼ 2009년 겨울 ▼ 2009년 봄 ▼80년대 초 .. [내고향 한실 이야기]/**** 한실 소개 2009.01.11
* 문산면 은곡리 대명바위(大鳴巖) * 대명바위(大鳴巖) -. 옆으로 흐르는 하천에 대명교를 중수하고 이를 기념하여 한자 28자를 새겨놓은 데에서 유래됐다. -. 장군의 갑옷이 묻혀있다는 구전으로 미루어 마한 54국 중 아림국 군장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고인돌이며, 안산 앞 논 가운데에 있고, 석수장이와 얽힌 얘기 또한 구전.. [내고향 한실 이야기]/**** 한실 소개 2009.01.11
문산면 은곡리의 지명 유래 - 독논 * 독논 -. 항아리 모양의 골짜기에 논이 있다하여 독논이라 하였다. -. 돌논 이라고도 하는데, 이는 독논의 (독)자가 (돌)로 변형된 것으로 보인다. -. 망굴 건너편을 말하며, 독논 앞에 있는 들을 참샘물 논이라했다. 이는 독논 진입로 부근에 어떤 가뭄에도 마르지 않고, 아주 차가운 물이 솟는 샘이 있었.. [내고향 한실 이야기]/**** 한실 소개 2009.01.09
문산면 은곡리 지명의 유래 - 은적굴 * 은적굴 (銀積~) -. 뒷산에 차돌바위와 곱돌(은빛 돌, 은곡리 방언으로 골독.)이 마치 은이 쌓여 있는 것처럼 빛이 난다하여 은적굴이라 하였다. -. 은적굴의 (굴)은 (골)의 변형어 이다. -. 2009년 현재 6호가 살고 있다. -. 뒷산 정수리에 차돌바위가 있으며, 10여 미터 아래에 당제를 지내던 터가 있다. 텃굴.. [내고향 한실 이야기]/**** 한실 소개 2009.01.09
문산면 은곡리 지명의 유래 - 서당모탱이 * 서당모탱이(書堂~~~) -. 모퉁이를 돌면 운포서당(雲圃書堂)이 있다 하여 서당모탱이라 하였다. -. 서당모탱이의 (모탱이)는 (모퉁이)의 방언이다. -. 샛종재 끝자락을 말하며, 평해구씨(平海丘氏) 신도비가 있다. -. 서당모탱이에서 양지편에 이르는 길은, 새마을운동 당시 마을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구.. [내고향 한실 이야기]/**** 한실 소개 2009.01.08
문산면 은곡리 지명의 유래 - 새태 * 새태 -. 기슭에 새로 집이 들어섰다 하여 새태라 하였다. 새태는 새터의 변형어이다. -. 폐촌하여 인가가 없다. -. 산 정상 부근에 백제 퇴뫼식 산성과 군영터가 있고, 기슭에 구동호, 구중대씨 가족 묘역이 있다. 황소논에서 바라본 새태의 전경▼ 소류지에서 바라본 새태산성 전경▼ [내고향 한실 이야기]/**** 한실 소개 2009.01.08
문산면 은곡리 지명의 유래 - 새바티 * 새밭티 -. 옛날에 밭을 새로 일구고 새밭(新田)이라 하였다. 새바티는 새밭의 방언이다. -. 시나굴과 당굴 사이를 말하며, 지금은 사용치 않는 상여집이 있다. 새바티 풍경 원탱이 쪽 풍경 - 우측 골짜기에 상여집이 있다. 새바티에서 바라본 양지편 쪽 풍경 원탱이에서 바라본 새바티 [내고향 한실 이야기]/**** 한실 소개 2009.01.08
문산면 은곡리 지명의 유래 - 안상굴 * 안상굴 -. 말 안장 모양의 산이 있다 하여 안장골이라 하였으나 변형되어 안상굴이라 부른다. -. 위한실 끝쪽에 위치해 있다. -. 2009년 현재 1호가 있으며, 이운식님이 본가를 별장으로 이용하고 있다. 안상굴 전경 [내고향 한실 이야기]/**** 한실 소개 2009.01.08
문산면 은곡리 지명의 유래 - 원탱이(위한실) * 원탱이 -. 원통산 아래에 마을이 있다하여 원통리라하였는데 원탱이로 변형되었다. -. 타 지역에서는 한실 윗쪽에 있는 동네라 하여 위한실, 혹은 웃한실이라고 부른다. -. 길산천 발원지인 원진산(해발 270)이 있다. 원탱이 전경 마을 초입에 있는 대나무숲 길 원진산 - 원통산이라 부름 [내고향 한실 이야기]/**** 한실 소개 2009.01.08